바빠서 최근 업계 뉴스/마케팅 트렌드
챙기기 어려운 마케팅 플레이어 주목! 트렌디한 당신을 위한 플레이디 트렌드 뉴스레터
💌P'letter(플레터)💌가 업무 시작 전, 하루 5분!
트렌드를 담아 전달드립니다😁 |
|
|
🎈이번주 트렌드 한 접시 메뉴
■ 스킵 시대에 던진 도전, 하인즈 캠페인
■ 2시간 이내 배송, 다이소 퀵커머스 합류
■ 쇼핑몰에 없어도 OK, 이제 AI가 찾아준다 |
|
|
다들 광고 넘기기 바쁜 요즘. 최근 하인즈가 영화 상영 전과 엔딩 크레딧 ‘이후’에 나눠 상영되는, 전례 없는 캠페인을 선보였습니다. 영화보다 더 영화 같은 광고, 관객의 인내심을 콘텐츠로 만든 이 실험적 시도는 어떤 전략일까요? 하인즈의 이색 캠페인, 지금부터 함께 살펴봅니다😆
🎬 스킵 시대에 던진 도전, 하인즈의 '포스트 포스트 크레딧' 광고 |
|
|
*포스트 포스트 크레딧 : 쿠키 영상조차 끝난 뒤, 엔딩 크레딧의 마지막에 등장하는 '진짜 마지막 장면'을 뜻함
하인즈는 이번 캠페인에서 소비자가 광고를 끝까지 지켜보게 만드는 방식 자체를 브랜딩 요소로 활용했습니다. 광고를 영화 상영 전과 엔딩 크레딧 이후로 나눠 배치하고, 광고 사이에 영화 한 편이 끼어 있는 역발상 구성으로 ‘기다림’을 콘텐츠의 일부로 만든 것이죠. 영화가 끝난 후 마침내 공개된 광고 2부는 케첩이 핫도그에 뿌려지는 장면과 함께 “It has to be Heinz”라는 메시지를 전하며 강렬한 마무리를 남깁니다🍅
핵심은 하인즈 케첩의 느림이라는 제품 특성을 ‘불편함’이 아닌 ‘기대감’으로 전환했다는 점입니다. 유리병에서 케첩이 천천히 나오는 특징을 기다림의 가치로 연결했고 쿠키 영상이라는 영화 문화와도 절묘하게 맞물리며 소비자 몰입을 유도했습니다. 이번 사례는 ‘스킵’이 일상화된 시대에, 오히려 기다림을 브랜드의 매력으로 승화시킨 인상적인 접근이었습니다. 브랜드의 불편함조차 콘텐츠로 녹여낸 하인즈, 여러분도 익숙한 제약을 색다른 발상으로 표현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
|
|
✔ 쇼핑몰에 없어도 OK, 이제 AI가 찾아준다
아마존·네이버 등 빅테크들이 AI 쇼핑 에이전트를 본격 도입하며 ‘3세대 커머스’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아마존은 쇼핑 AI 에이전트 '루퍼스'를 도입해 고객들의 쇼핑을 돕고 있으며, 최근 앱 외부 상품까지 검색·구매를 지원하는 '바이 포 미'도 공개해 화제에 올랐습니다. 네이버 또한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를 통해 검색·후기 기반 사용자 맞춤 추천을 선보이며 사용자 락인 효과를 노리고 있습니다🤖 이커머스 시장에서 AI 에이전트의 영향력은 갈수록 커질 전망이며, AI 에이전트끼리 직접 거래하는 A2A(Agent-to-Agent) 시대가 멀지 않았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
|
|
✔ 유튜브 '숏폼 황제' 등극
유튜브가 숏폼 콘텐츠로 MZ세대를 사로잡으며 글로벌 동영상 플랫폼 1위 자리를 굳혔습니다👑 광고 수익은 최근 5년간 21조→51조 원으로 두 배 이상 성장했고, 국내에선 카카오톡을 제치고 최다 이용 앱으로 등극했습니다. 특히 2023년 기준 쇼츠의 일일 조회수는 700억 회, 파트너 채널 25% 이상이 쇼츠를 통해 수익을 창출했습니다🔥 짧고 몰입도 높은 콘텐츠로 숏폼 시장을 주도하며 ‘숏폼 = 유튜브’ 공식을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
|
|
✔ 에루샤나 올다무쿠, 소비시장 '초양극화'
고금리·고물가 등 경제 불안정 속에서 소비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초고가 명품 ‘에루샤(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는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보였고, ‘올다무쿠(올리브영·다이소·무신사·쿠팡)’도 합리적인 가격과 품질로 소비자 지지를 받으며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올리브영·다이소는 앱 사용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각각 37%, 89% 급증하며, MZ세대와 외국인 관광객 모두를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고소득층은 가치 소비에, 대중은 가성비에 집중하면서 리테일 시장은 양쪽 끝으로 극단적으로 갈리고 있는 모습입니다💨 |
|
|
✔ 토스쇼핑, 커머스 존재감 부각
‘고양이 키우기’로 시작된 실험이 토스쇼핑의 급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앱 내 게임 요소와 리워드 제공을 통해 2030 여성 이용자 중심의 자발적 유입을 유도했고, 최근 1개월 전환율 58%로 알리·테무 등 경쟁 플랫폼을 앞질렀습니다. 낮은 인지도에도 실사용률이 높은 것은 토스페이와 커머스를 연계한 전략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토스는 매달 2,480만 명이 사용하는 서비스로, 이들을 자연스럽게 끌어오는 것이 핵심입니다. 토스쇼핑을 앱 하단 가운데 탭에 정면 배치한 데 이어, 앞으로 토스쇼핑에 더욱 힘을 실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
|
|
둘째주·넷째주 수요일 오전 10시
읽어볼 만한 광고·마케팅·트렌드 소식을
한 번에 모아 메일에 쏙! 넣어드릴게요😉
혹시 플레터에 의견이 있다면 여기에 남겨주세요❤ |
|
|
(주)플레이디 pletter@playd.com
본 메일은 발신 전용이므로 회신하실 수 없습니다.
P'letter 메일을 더 이상 받아보고 싶지 않으시다면
If you don't want to receive this e-mail anymore, [click] here.
대표자 : 이준용 | 사업자 등록번호 : 129-86-43885
대표전화 : 1566-3265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황새울로 359번길 11, 5~6층 (서현동, 미래에셋플레이스)
|
|
|
|
|